오늘은 프로젝트로 인해 간략하게 안것에 대해서만 서술한다.
transform.parent.gameObject로 접근하면 부모 오브젝트를 넘길 수가 있다.
오브젝트 풀링 사용시 간단하게 일단 class로 선언해둬 여러 타입의 객체를 받을 수 있도록 가져오고
그 class의 정보에는 풀링 사이즈와 tag 프리펩 정보를 담아둔다.
그리고 딕셔너리에 키를 tag로 설정하고 큐를 하나씩 넣어줘
클래스당 큐를 보유할 수 있도록하는 것이다.
그리고 생성시엔 dequeue를 하고 바로 enqueue를 해준다.
다만 이렇게 한다면 dequeue 한 것이 필요 없어진 상황에서도 setActive되는 상황도 있어 필요없을 때 setActive 를 false로 해주는 작업도 필요해보이며 이번 과제서 구현을 했다.